1. 시작 글
안녕하세요^^ '합격고' 입니다.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어느덧 이번 주도 마지막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데요. 여러분들도 즐거운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카드를 전격 꺼내 들면서 정책적인 불확실성과 경제 침체 위험이 커지게 되었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공유하고 알아보고자 합니다.
2. 주요국 상호관세율 및 증시 현황
1) 상호 관세율
국가 | 관세율 | 국가 | 관세율 |
베트남 | 46% | 남아프리카공화국 | 30% |
태국 | 36% | 인도 | 26% |
중국 | 34% | 한국 | 25% |
대만 | 32% | 일본 | 24% |
인도네시아 | 32% | 유럽연합(EU) | 20% |
스위스 | 31% | 요르단 | 20% |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 간, "미국 제품에 막대한 관세를 부과하고 산업을 파괴하기 위해 터무니없는 비 금전적 장벽을 만들었다. 미국 납세자들은 50년 이상 갈취를 당해왔으나 더는 그런 일은 없을 것이며, 이것이야말로 미국의 황금기"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이번 상호관세 부과 조치는 국제경제비상권한법(IEEPA)를 토대로 하였음을 백악관은 밝혔습니다.
2) 증시 현황(4월 4일 기준)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 38314.86(전장보다 -5.50%급락)
☞ S&P500 지수 : 5074.08(전장보다 -5.97%급락)
☞ 나스닥 종합지수 : 15587.79 (전장보다 -5.82%급락)
S&P500 지수는 팬데믹 공포가 확산되었던 20년 3월 -12% 이후 5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하였으며, 나스닥 지수는 24년 12월 고점 이후 20% 넘게 하락하였습니다.
3. 각국의 반응, 그리고 대응
☞ 중국 :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하겠음.
☞ 유럽연합 : 기존 철강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에 맞대응 관세를 더한 강력한 대응을 하겠음.
☞ 캐나다 : 어떤 선택지도 배제하지 않겠음.
☞ 멕시코 : 즉각적인 보복 관세 부과는 하지 않겠음.
미국은 새로운 관세에 대해 다른 국가들이 보복할 시, 더 큰 보복에 직면할 것이며, 미 재무부 장관은 "보복하면 문제가 확대되고, 보복하지 않을 시 이번 관세율이 최고 수위가 된다."라고 강조하였습니다.
4. 비트코인은 관세 안전지대일까?
뉴욕 증시 등 위험 자산들이 줄 하락을 보인 반면, 비트코인은 4월 6일 기준, 1억 2천 3백만 원으로 상대적으로 선방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각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 아서 헤이즈 비트멕스 공동 설립자 : "관세 발표 이후 2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한 이유는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미리 반영하였으므로 결국 비트코인에는 호재다."
☞ 스트래티지의 회장 마이클 세일러 : "비트코인은 수·출입 규제와 관련 없는 순수한 디지털 자산이다. 향후 글로벌 무역 긴장이 장기화될 경우, 관세 안정 지대로 기능할 수 있다."
* 출처
①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3011251071?input=1195m
② 시사저널,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29084
③ 뉴시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404_0003127674
5. 이 글을 마치며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이러한 경우는 처음 접해 보았기에 저 또한 상당히 당황하였습니다. 물론, 장기 투자인 저로서는 하락세를 보인 지금, 매수 타이밍이라고 생각은 되지만 섣불리 큰 금액을 투자하기에는 위험 부담이 있어 소액으로 진행을 하려고 합니다. 요즘 투자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모두들 파이팅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