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작 글
안녕하세요^^ '합격고' 입니다.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금요일이 되었습니다.😁😁 저는 그제 회식에서 술을 조금 많이 마셔서 그런지 컨디션이 좋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어제까지 푹 쉬고 오늘 이렇게 블로그 글을 쓰기 위해 도서관에 오게 되었습니다. 오늘도 주식 관련 용어들을 얘기하고 공유하고자 합니다.
2. 주식 시장의 제도
1) 인적 분할 : 기업이 하나의 회사에서 두 개 이상의 회사로 나뉘는 방식으로, 기존 회사의 주주들이 분할된 회사의 주식을 그대로 나눠 갖는 방식입니다.
☞ 특징
① 주주 구성은 변하지 않으며 보유 주식이 두 개 이상의 회사로 나눠지게 됩니다.
② 자산 및 부채가 이전될 수 있습니다.
③ 대기업이 특정 사업 부문을 독립된 회사로 만들 때 자주 사용됩니다.
2) 물적 분할 : 기업이 특정 사업 부문을 분리하여 새로운 자회사를 설립하고, 그 자회사의 지분을 기존 회사(모회사)가 100% 소유하는 방식입니다.
☞ 특징
① 기존 주주들은 신설된 회사의 주식을 직접 받지 못하며, 모회사가 신설 법인의 지분을 100% 보유합니다.
② 특정 사업 부문의 자산과 부채가 신설 회사로 넘어갑니다.
③ 모회사는 이후 신설 회사의 일부 지분을 매각하거나 상장하여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 장점
① 분할된 회사가 자금을 유치하기 쉽고, 기업공개도 가능함.
② 모회사가 신설 회사의 지분을 보유하므로 경영권 유지가 가능함.
∨ 단점
① 기존 주주들의 불만이 발생함.
② 신설 법인이 상장할 시, 모회사의 기업 가치가 희석될 수 있음.
☞ 인적 분할 vs 물적 분할
구분 | 인적 분할 | 물적 분할 |
주식 배분 | 기존 주주에게 배분 | 모회사가 100% 지배 |
분할 후 구조 | 모 · 자회사 관계 없음 | 모 · 자회사 관계 형성 |
주주 가치 영향 | 기존 주주가 그대로 지분 보유 | 모회사가 지배력을 가져 주주 가치 논란 발생 가능 |
3) 가격 제한 폭(Price Limit) : 주식 시장에서 하루동안 개별 종목의 가격이 상승하거나 하락할 수 있는 최대 범위를 의미합니다. 즉, 주가가 하루에 너무 크게 변동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도입니다.
☞ 목적 : 갑작스러운 주가 변동으로 시장질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됨.
* 가격 제한 폭 인정하는 국가 : 대한민국, 일본, 대만, 중국, 베트남, 태국 등
* 가격 제한 폭 인정하지 않는 국가 : 미국, 영국, 독일, 홍콩, 뉴질랜드 등
* 출처
① OpenAI. (2025). ChatGPT(1.2025.070 버전)[Large Language model]. https://chat.openai.com
② 나무위키
3. 이 글을 마치며
오늘은 인적 분할, 물적 분할, 가격 제한 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즘 AI에게 물어보며 작성하고 있는데 정말 세상 좋아졌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 여러분의 하루는 어떠셨습니까?😀😀 모두들 즐거운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